서비스 베스트 프렉티스 인텔리전스 플라자 쏘트 리더십 퍼블리케이션
About 3mecca
Home > 퍼블리케이션> 출간도서
출간도서
World Class Function
커스텀화된 강력한 솔루션
″전 세계 어떤 시장에 대해서건, 지속적인, 또는 특정 이슈 관련 전략적 마켓 인테리전스와 자문 서비스가 필요하십니까? 그렇다면 고객들이 우리의 서비스와 Intelligence Partnership™으로부터 어떠한 혜택을 입었는지, 우리가 어떻게 고객을 도와드릴 수 있을지 질문하십시오.″
 
 
작성일 : 14-03-25 17:04
경영전략 다이제스트
 글쓴이 : 3mecca
조회 : 6,841  
저자 : 코넬리스 클뤼버, 존 피어스 2세 지음
옮긴이 : 송재용 외 옮김
발행일 : 2014. 4.7刊
사양 :
ISBN : 978-89-92534-20-8 13320
상태 :
정가 : 23,500원


전략에 대한 수많은 책이 이미 시중에 나와 있고, 많은 책들이 “전략”이라는 타이틀을 내걸고 등장하고 있다.:namespace prefix = "o" />
그러나 적어도 내가 알기로는 이 책은 “전략이란 무엇이고, 전략이 왜 필요한가? 어떤 목적으로 전략이 관리되어야 하며, 또 어떻게 관리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고 있는 유일한 책이다.
 
      피터 드러커, 1판 추천서문에서
 
 
21세기 글로벌 지식기반경제의 도래는 극심한 환경변화와 불확실성의 증대를 가지고 오고 있으며 글로벌 경쟁도 보다 심화되어 문자 그대로 무한경쟁 시대가 도래하였다. 특히, 2008년 전세계를 강타한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진이 계속되어 국내외 경제의 저성장이 장기화되는 소위 뉴 노멀의 상황도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변화는 전략적 사고의 중요성을 더욱 증대시키고 있다. 이제 전략적 사고는 단지 CEO만 갖추어야 할 것이 아니라 기업의 관리자라면 누구나 기업이 직면한 환경 변화를 직시하면서 자신의 소속 회사나 사업부문의 전략에 대해서 함께 고민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namespace prefix = "st1" />송재용(서울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경영전략 전공)
 
 
 
1.   책의 내용
 
기존의 낡은 전략 이론서는 가라!
역동적인 경영 환경에 대응한 분석과 의사결정을 위한 전략적 사고, 최신 이론, 기법, 사례 제시 및 업데이트
 
이 책의 특징
 
이 책은 최고 경영진의 관점을 유지하면서도 실용성에 초점을 두고 전략의 전반적 내용을 아주 간명하고 읽기 쉽게 전달한다. 기업의 경영자뿐 아니라 최고경영층이 되기를 열망하고 있는 MBA EMBA 학생들도 이 책을 통해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전 세계의 독자층으로부터 받았던 수많은 건설적인 조언에 힘입어 개정된 4차 개정판에는 수많은 새로운 사례와 내용이 추가되었다.
 
<4차 개정판의 특징>
-2: 위대한 기업이 되기 위한 방법에 초점을 맞춘 두 가지 핵심 연구 소개
-3: 글로벌화, 글로벌 구조론,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새로운 내용 추가
-5: 공급망 관리, 조직 역량 평가 모델 및 친환경 기업 전략의 이점 등 추가
-8: 국가/지역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 글로벌 전략추구에 따른 전략적 위험 추가
-9: 수직통합과 제휴의 전략적 근거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 추가
 
 
피터 드러커가 극찬했던최고의 전략 도서
전략이란 무엇이고, 왜 전략이 필요한가? 어떤 목적으로 전략이 관리되어야 하며, 또 어떻게 관리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고 있는 유일한 책.”
 
 
이 책은 기업의 광범위한 책무에 대해서 충분히 인식하고 있는 경영자들의 전략 수립과 실행을 돕고, 그들에게 간결하면서도, 실무에 적용할 수 있으며, 쉽게 전략 수립을 이끌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기 위해 쓰였다. 뿐만 아니라 최고경영층이 되기를 열망하고 있는 MBAEMBA 학생들도 이 책을 통해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기업의 성공은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고위 중역층의 능력에 상당수준 의존한다. 라이벌 기업들에 비해 경쟁우위를 누리고 있는 기업들은 대체로 그들의 고객들이 선호하는 것은 무엇이고, 어떻게 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며, 누가 주요한 경쟁사들이고, 그 경쟁사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에 대해서 매우 정확하게 파악한다.
 
훌륭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분석과 종합 모두를 요구하는 것이고, 따라서 그것은 합리적인 과정일 뿐 아니라 창의적인 행위이다. 성공적인 전략은 외부의 경쟁 환경 속에서 관련된 요소들에 대한 명확한 포착과, 분명한 전략적 의도, 그리고 조직의 핵심 역량과 자산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의 수준을 반영한다. 본원적 전략만으로는 기업이 리더십 지위를 누릴 수 없다. 우리 기업이 어디로 가길 원하는가를 알고, 그곳에 이르기 위해 신중하게 고려된 창의적인 방법들을 발견하는 것은 성공적인 전략의 대표적인 특징이다.
 
 
 
2. 추천의 말
 
바로 지금 이 순간과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서 기업의 부가가치 영역을 이해하고, 차별화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경영자의 능력은 급격한 변화의 시기에는 특히 그 중요성이 더 부각된다이 책은 경영자로 하여금 전략적 개념과 모델의 핵심은 무엇이고, 어떤 것이 비즈니스 성공에 기여하며 지속적으로 유용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다양한 사례와 함께 소개하는 전략서의 기본이다.                     - 이병남 대표, 보스턴컨설팅그룹(BCG)
 
이 책은 일시적으로 유행하다 사라지는 경영기법들이 아닌 정통 경영전략의 펀더멘탈을 심층적으로 다루고 있지만 동시에 극도의 간결함과 명료함을 유지하고 있는 보기 드문 명저이다. 경영전략을 배우는 학생들은 물론, 경영 일선에서 종사하고 있는 모든 경영자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필독서이다.                - 신동엽, 연세대 경영대학 교수
 
시중에는 전략에 대해 아주 두꺼운책들이 많이 나와 있다. 그러나 이 책은 복잡한 내용을 아주 간결하게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이 아주 쉽게 읽을 수 있게 한다.  
- 브루스 캐인, 반더빌트 대학
 
피터 드러커 (1판 서문)
 
“전략이란 무엇인가? 왜 필요한가?"
 
코넬리스 클뤼버와 존 피어스 2세가 이 책의 1장에서 지적했듯이, “비즈니스에 관한 논의치고 전략이라는 단어를 포함하지 않은 것은 없다.” 그러나 그 용어가 비즈니스에 적용된 것은 심지어 40년도 채 안 된다. 그런데 이제 전략은 핵심 유행어가 되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이미 전략에 관한 수십 권의 책이 나와 있고, 전략이라는 제목으로 새로운 책이 속속 등장하고 있지만, 적어도 내가 알기로는 이 책은 “전략이란 무엇인가? 왜 필요한가?"에 대해 답할 수 있는 유일한 책이다. “특정한 비즈니스 상황에서, 그리고 특정한 비즈니스에 의해서 어떤 목적을 위해 전략이 관리되어야 하는가?”를 질문하는 책도 바로 이 책뿐이다. 또한 효과적인 행동을 위해서 전략을 관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유일한 책도 바로 이 책이다.
 
오늘날 규모 여하를 막론하고 대부분의 기업은 이미 자신들의 기존 전략에 대해 다음과 같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l  전통적 조직 구조에 대한 급격한 도전: 오너십에 의해 유지되는 단선적인 기업에서 제휴·소액투자·파트너쉽·노하우 협정에 의한 연합체로의 이행
l  전통적인 유통 채널과 온라인 인터넷 서비스와의 혼란스럽고 위험한 통합
l  아웃소싱: 무엇을, 언제, 누구에게, 어떻게 할 것인가?
l변화에 저항적이며 그 비전과 가치에서 가부장적이지만, 또한 대단히 전문화된 역량을 지니고 있고, 숲은 알지만 튼튼한 나무는 심을 줄 모르는 각각의 기능적 사일로를 어떻게 균형 잡을 것인가?
l  향후 10년 이내 개발도상국의 인구역학이 20세기 후반의 동질적인 매스 마켓을 각각의 가치·습관·유통채널을 가진 두 개 이상의 각자 뚜렷한 별도의 마켓으로 분리될 가능성
 
현재 비즈니스계가 직면한 위의 도전들은 경영자로 하여금 전략적 의사결정을 요구한다. 그리고 그러한 결정은 어떤 것, , 효과적인 행동을 요구한다. 그러나 기존의 전략 책들은 거기에 대해 기껏해야 피상적으로 조금 언급하고 있을 뿐이다. 경영자가 직면한 각각의 도전은 특정한 도전에 적합한 전략을 식별하고, 특정한 시기에 특정한 비즈니스에 적합한 전략을 식별하며, 선택된 전략을 효과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전략적 경영을 요구한다. 이것이 바로 이 책의 주제이다. 그래서 이 책이 중요하다.
 
 
3. 지은이·옮긴이 소개
 
지은이
코넬리스 클뤼버 Cornelis A. de Kluyver
 
University of Oregon Lundquist 경영대학원에서 학장 겸 James and Shirley Rippey Distinguished 교수로 재직 중이다. 또한 네덜란드의 Nyenrode 경영대학원의 초빙 교수로 전략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Peter F. Drucker and Masatoshi Ito 경영대학원 학장을 역임했다. 30년간 학자로서의 길을 걸으면서 경영컨설팅 경험을 두루 쌓아왔다. 글로벌 전략과 기업지배구조 분야의 학자로서, 또한 경영컨설팅사 대표로서, 하이테크와 서비스산업 분야의 다양한 고객을 상대하며 다국적 기업의 글로벌화를 포함한 다양한 전략 분야에서 컨설팅 업무를 수행했다. 그는 Cambridge Whos Who에 등재되어 있다.
 
 
존 피어스 2 John A. Pearce II
 
Villanova University의 석좌교수로서 전략경영과 창업론을 강의하고 있다. 39권에 달하는 책을 공동저술하였으며, 108편 이상의 논문과 132편 이상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다. 2006년에는 MIT-Sloan으로부터 계획된 변화와 조직 개발 부문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Beckhard 상을 수상하였다. 두차례에 걸친 Fulbright U.S. Professional AwardSpecialist Award를 수상하였다. 그는 경영자 양성과정 지도 및 경영 컨설턴트로서도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Business 2.0, Blooming BusinessWeek, BusinessWeek Small Business, CNNMoney.com, Forbes를 비롯한 유수의 매체가 경영 이슈에 관하여 그의 의견을 구하고 있다.
 
 
옮긴이
송재용 Jaeyong Song
 
서울대 경영대 송재용 석학교수는 펜실베니아대 박사로 컬럼비아대, 연세대 교수를 거쳐 부학장과 한국경영학회 부회장을 지냈으며, 현재 서울대 경영연구소장, 한국전략경영학회 및 한국국제경영학회 부회장이다. 한국경영학회 SERI중견경영학자상, 서울대 교육상, 연세대 우수업적교수상, 미국경영학회 최우수논문상,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 강의상, 한국경영학회 최우수논문상 등을 수상했고, 매일경제‘한국의 경영구루 10인’에 포함되었다. Management Science, Harvard Business Review 등 해외 톱 저널에 논문을 다수 게재했으며, Financial Times 45 저널로 국제경영 최고 저널인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의 에디터를 맡고 있다. 한국인 최초로 GE의 연례 경영진 미팅에서 기조강연을 하였고, 삼성, 현대차, SK, 롯데, 포스코, 아모레퍼시픽 등의 자문교수/ 사외이사를 역임했다. 삼성경제연구소 추천도서인 ‘스마트경영’과‘삼성 웨이’는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삼성 웨이’는 세계적 출판사 McGraw Hill을 통한 해외 출판이 예정되어 있다.
 
 
김상지 Sangji Kim
 
서울대학교 경제학부를 졸업하고 삼성코닝정밀유리에서 근무한 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4. 책 속으로
 
4차 개정판의 특징
 
본서는 우리가 전 세계의 독자층으로부터 받았던 수많은 건설적인 조언에 힘입어 개정된 제 4판이다. 우리는 새로운 내용들을 다루고, 본서를 이용한 강의의 흐름을 개선하기 위해 몇 가지의 주제들을 재정비했으며, 본서의 전 부분에 사용된 수많은 사례와 타이틀을 갱신하였다. 그와 동시에 우리는 초판이 가지고 있었던 다른 책들과 차별화된 속성들-간결성, 대화형식, 경영층 지향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신중을 기하였다.
 
1장인“전략이란 무엇인가?에서 우리는 고객의 가치창출을 위한 독특한 방법들에 초점을 맞추어서 한 기업이 경쟁우위를 얻기 위한 포지셔닝의 행위들로 전략을 규정하였다. 여기에서는 전략의 수립과 조직의 운영적 효과성 강화를 구분하며, 경쟁 우위의 주기를 소개하고, 사명, 비전, 전략적 의도, 도전적 목표 설정처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의하였다. 이후 우리는 전략수립의 프로세스와 그러한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조직 학습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2장인“전략과 성과”는 현재 널리 인용되고 있는 두 개의 연구를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두 연구는 모두 기업이 우수하고 지속적인 성과를 달성하는 위대한 기업이 되기 위한 방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짐 콜린스는 2001년에 출간된 그의 연구,《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왜 어떤 기업은 도약하고 어떤 기업은 그렇지 못한가(원제: Good to Great: Why Some Companies Make the Leap...and Others Don’t)》에서 좋은 기업들이 진정으로 훌륭한 기업이 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많은 CEO들의 성공 요인에 대한 시각을 바꾸어 놓았다. 두 번째 연구는 JoyceNohria, Roberson McKinsey & Co.와 공동으로 연구한《무엇이 진정으로 효과가 있는가: 지속적인 기업의 성공을 위한 4+2 공식(What Really Works: The 4+2 Formula for Sustained Business Success)》이다. 이 연구는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는 필수 경영 기법들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5년에 걸쳐 진행되었다. 그 다음으로 2장에서는 전략과 조직의 최종 성과를 연결 짓는 개념적인 프레임워크를 소개하였다. 이 논의의 일부로 주주가치와 균형성과표와 같은 개념도 다루었다.
 
3장인 “외부 전략적 환경 분석”에는 새로운 내용이 몇 가지 추가되었다. 3장은 글로벌화에 대한 논의로 시작하였으며 우리가 얼마나 글로벌화 되어 왔는지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그 다음으로‘글로벌 구조론’부분에서는 기술, 자연, 사회에서 부상하고 있는 트렌드가 서서히 경영환경에 대변혁을 일으키고 있는 과정을 지구의 구조판이 지면을 움직이는 것에 비유한 글로벌 구조론이라는 용어를 설명하고 전략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부분이 추가되었다. 여기에서는 사회적 책임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부상하고 있으며 기업이“친환경”전략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후 3장에서는 변화의 맥락에서 효과적인 전략 개발을 달성하는데 핵심적인 불확실성을 분석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소개한다.
 
4장인 “산업 분석”은 산업과 경쟁자 분석에 관한 약식 모듈을 보완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3장은 4가지의 주요한 항목들인 제품, 고객, 지역, 제품-유통라인에서의 단계를 따라 하나의 산업을 규정한다. 여기에서는 잘 알려진 Porter의 산업구조분석 모형five forces analysis을 소개하고, 산업 진화의 방식들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후 세분화, 경쟁자 분석, 성장벡터 분석, 격차 분석, 이익풀 분석과 같은 산업 역동성 분석을 위한 기법들에 대한 논의가 이어진다.
 
5장인 “조직 내부의 전략적 자원기반 분석”에서 우리는 우선 물리적 자산, 상대적인 재무적 지위, 인적 자본, 시장 명성과 브랜드 자산, 특정 지식, 역량, 프로세스, 스킬, 조직의 문화적 속성 등과 같은 한 기업의 전략적 자원들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이후 두 번째 파트에서는 공급망 관리에 관한 내용과 내부 변화 동력, 변화를 흡수하는 조직의 역량을 평가하는 모델 및 친환경 기업 전략을 창출하는 것의 이점 등이 추가되었다.
 
6장과 7장에서는 사업부 수준에서의 경쟁전략 개발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사업부 전략 혹은 경쟁 전략은 주어진 경쟁 상황에서 기업들이 경쟁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6장인“사업부 전략 수립”에서 우리는“무엇이 사업부 수준에서의 수익성을 결정하는가?”라는 질문을 제기한 뒤, 사업부의 성과가 기업들이 경쟁하는 산업의 속성들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우리는 경쟁우위의 개념에 대해서 논의한 뒤, 가치사슬 분석, 포터의 본원적 전략 프레임워크, 가치기율 등을 소개하였다.
 
7장인 “사업부 전략: 상황적 배경과 특수한 차원들”에서 우리는 본원적 전략을 넘어서서, 특정한 산업 환경들에서의 전략수립과 관련된 내용들을 다루었다. 여기서는 태동기, 성장기, 성숙기 라는 세 가지 산업 진화의 단계를 살펴보았다. 이후 우리는 기업들에게 독특한 전략적 도전을 야기하는 분절된 산업, 규제 철폐된 산업, 초경쟁 산업, 인터넷기반 산업이라는 세 가지의 산업 환경에 대해 논의하였다. 초경쟁은 많은 산업들에서 사업부 수준의 경쟁을 심화시킨다는 특징을 지닌다. 따라서 우리는 7장의 마지막 부분에서 역동적인 산업에서 기업들의 성공을 이끄는 두 가지의 대표적인 속성인 스피드와 혁신에 관해 논의하였다.
 
8장에는 국가와 지역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추가하였다. 8장의 후반부에서 어떻게 월마트가 사업운영의 글로벌화를 달성할 수 있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고, 최근 월마트가 독일과 영국에서 보였던 실망스러운 결과들을 추가하였다. 마지막으로는 글로벌 전략을 추구하는 것과 관련된 다양한 전략적 위험 요소들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9장 “기업 전략: 포트폴리오의 형성”은 약간의 수정이 이루어졌다. 개정판에서는 수직 통합과 제휴에 관하여 보다 자세한 논의가 추가되었다.
 
10장인 “기업 전략: 포트폴리오 관리”는 대부분 이전 판과 동일하다. 이 장은 다양한 포트폴리오 모델에 대한 논의로 구성되었다. 또한 전략기획에 대한 기업 측면의 시각과 기업의 포트폴리오에 가치를 부가하기 위한 수평적 전략 섹션을 포함하고 있다.
 
 
강의안
 
본서의 개정판은 강의와 최고경영자들의 발표를 지원하기 위해 각 장에 PowerPoint slide를 포함하였다. 이 슬라이드는 출판사의 홈페이지에서 보안된 패스워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개정판은 본서에서 언급하고 있는 여러 주제들과 각 장의 설명을 지원하기 위한 사례들의 case map을 포함한다.
 
 
 
5. 목차
 
서문
감사의 말
 
1장 전략이란 무엇인가
1. 서론
2. 전략의 정의
3. 전략 수립 프로세스
 
2장 전략과 성과
1. 서론
2.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고슴도치와 플라이휠에 관해
3. 기업의 지속적인 성공을 위한 4+2 공식
4. 전략과 성과: 개념적 프레임워크
5. 전략적 옵션 평가
6. 이사회의 역할
 
3장 외부 전략 환경 분석
1. 서론
2. 글로벌화
3. 기업의 사회적 책임-새로운 기업 경영의 의무
4. 위험과 불확실성
 
4장 산업 분석
1. 서론
2. 산업이란 무엇인가?
3. 산업진화
4. 산업분석의 방법
5. 제품/시장 범주 분석
 
5장 기업 내부의 전략적 자원 분석
1. 서론
2. 전략적 자원
3. 글로벌 공급망 관리
4. 변화를 촉진하는 힘
5. 이해관계자 분석
6. 친환경 기업전략의 창출
 
6장 사업부 수준의 전략수립
1. 서론
2. 사업부 전략 수립의 기초
3. 경쟁전략의 수립
4. 포터의 본원적 사업부 전략
5. 가치기율
6. 수익성 있는 비즈니스 모델 설계
 
7장 사업부 전략: 상황적 배경과 특수한 차원들
1. 서론
2. 태동기, 성장기, 성숙기, 쇠퇴기 산업들
3. 분절, 규제 철폐, 초경쟁, 인터넷기반 산업
4. 사업단위 전략: 특별한 차원들
 
8장 글로벌 전략의 수립
1. 서론
2. 글로벌화와 산업 집적화
3. 글로벌 전략 수립
4. 글로벌 조직과 위험
 
9장 기업 전략: 포트폴리오 수립
1. 서론
2. 규모와 범위의 경제
3. 무엇이 핵심인가?  
4. 성장전략
5. 투자감축: 매각, 분사, 사업청산
 
10장 기업 전략: 포트폴리오 관리
1. 서론
2. 사업들의 포트폴리오 관리
3. 제휴관리에 있어 포트폴리오 접근법의 사용
4. 기업 본부의 역할
5. 기업의 전략 기획
6. 포트폴리오 관리를 위한 수평적 전략들
 
케이스맵
지은이 소개
옮긴이 소개
옮긴이 의 말
찾아보기

 
   
 

3mecca는 핀란드에 본사를 둔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 컨설팅, 전략, 솔루션 전문 기업인 GIA(Global Intelligence Alliance)
그룹의 한국 내 독점 파트너로서, 전 세계 23개국의 GIA 멤버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글로벌 전략, 마케팅, 리서치, 솔루션,
컨설팅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